
세상에는 다양한 서비스들이 존재하며, 각각의 다양성과 복잡성이 공존한다. 마찬가지로 그것을 코드로 표현하려고 한다면 조금 더 명확한 의미를 부여하여 전달하는 것이 필요하다. 쓰임새에 맞게 적절한 의미와 elements를 가지고 HTML 문서를 작성하면 웹 접속 장비에서도 해석이 수월해진다고 한다. 이번 시간에는 HTML 을 조금 더 의미있게 작성하기 위해 role 이라는 속성에 대해서 알아보자! role은 웹 접근성을 위해 나왔으며 위젯, 구조 및 동작에 대한 의미 정보를 올바르게 전달을 하기 위해 나왔습니다. 즉 elements의 확장 개념으로 좀 더 명확한 구조와 의미를 부여하는 역할을 합니다. 참조 이미지: https://www.w3.org/TR/wai-aria-1.1/ Role은 아래의 카테고리를..
신나는 언어공부/HTML
2019. 8. 7. 23:26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
- Prototype
- Es5
- useState
- NestJS
- HTML
- this
- 깃헙
- ES6
- virtual dom
- 웹사이트
- 클래스형 컴포넌트
- 가상돔
- 클래스 컴포넌트
- TypeScript
- useEffect
- scope
- window
- const
- string
- website
- Angular
- Function Component
- JavaScript
- array
- class component
- react
- Let
- 함수 컴포넌트
- github
- 리엑트
최근에 올라온 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